홍준기 선생님의 번역서와 근간을 소개합니다.
■ 도널드 멜처, 홍준기 역, 『클라인학파 정신분석의 전개 2 : 클라인 - 아동정신분석의 서사 해설』, NUN(눈출판그룹), 2020, ISBN : 9791188466146
http://www.nungroup.co.kr/book/detail.asp?idx=221
클라인 정신분석에 대한 구체적이고 생생한 증언
1978년 도날드 멜처는 클라인과 클라인학파의 이론의 형성과 전개 과정, 정신분석적 의미를 종합적으로 논의하는 『클라인학파 정신분석의 전개』 3부작을 저술했다. 그 중 제2권에 해당하는 이 책은 클라인의 『아동정신분석의 서사』를 이해하기 위한 안내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프로이트와의 병행성 속에서 클라인의 사상을 재고찰한다.
이 책은 클라인의 『아동정신분석의 서사』를 주석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지금까지의 클라인 정신분석에 관한 설명과는 매우 다른 새로운 접근 방식이며, 바로 그것에 이 저술이 갖는 독자성과 차별성이 있다. 독자들은 클라인이 리처드라는 아이와 어떻게 정신분석 작업을 해나가는지, 그 구체적인 방법과 테크닉에 대한 가장 생생한 증언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아직 국내에 본격적으로 소개되지 않은 멜처의 정신분석 사상에 입문할 기회를 제공한다. 그는 프로이트, 클라인, 비온의 정신분석을 재해석한 탁월한 학자일 뿐만 아니라, 자신의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이 세 분석가를 창의적으로 종합하고 자신의 몫을 기여함으로써 정신분석의 이론과 임상 발전에 공헌한 뛰어난 정신분석가로 평가받고 있다.
저자 소개
편집자 서문(멕 해리스 윌리엄스)
서론 및 읽을거리―클라인의 저작들
1장. 첫 주 : 회기 1-6
분석 상황의 확립, 망상-분열적 위치와 우울적 위치 개념의 전개 과정
2장. 둘째 주 : 회기 7-12
지식에 대한 갈망이 발달에서 행하는 역할
3장. 셋째 주 : 회기 13-18
멜라니 클라인의 이론 작업의 몸통을 조직화해주는 후기(postscript)로서의 시기심과 감사
4장. 넷째 주 : 회기 19-24
방어 메커니즘으로서의 무의식적 환상들, 강박적 메커니즘에 대한 집중적 고찰
5장. 다섯째 주 : 회기 25-29
망상-분열적 위치에서의 불안들 : 망상적 불안, 박해불안, 박해적 우울
6장. 여섯째 주 : 회기 30-33
회복(reparation) 개념의 발달 : 진정한 회복, 조적 회복, 그리고 거짓 회복
7장. 일곱째 주 : 회기 34-39
혼란(confusion)의 개념들―리처드와의 작업에서 이 개념들의 부재와 그 귀결
8장. 여덟째 주 : 회기 40-45
건강염려증의 현상학 : 심리신체적(psychosomatic) 현상 또는 심리신체적 망상(psychosomatic delusions)과 건강염려증의 구분
9장. 아홉째 주 : 회기 46-52
분열과 이상화 : 발달에서의 그것의 역할. 그리고 그것의 부재가 정신병리 형성에 미치는 영향
10장. 열 번째 주 : 회기 53-59
좌절을 견디지 못함을 구성하는 요인들―열 번째 주 분석 작업에 대한 개관
11장. 열한 번째 주 : 회기 60-65
특히 양가감정 개념과 관련해 분열 과정의 임상적 표현들과 통합의 구조적 의미에 대한 고찰
12장. 열두 번째 주 : 회기 66-71
치료 과정에서의 해석의 역할
13장. 열세 번째 주 : 회기 72-77
양가감정와 우울적 고통의 경험
14장. 열네 번째 주 : 회기 78-83
역전이와 관련된 기술적(technical) 문제
15장. 열다섯 번째 주 : 회기 84―89
결합된 대상 개념과 그것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16장. 열여섯 번째 주 : 회기 90-93
특히 내적 대상에 대한 의존과 이와 관련된 분석의 성과들
부록. 망상-분열적 위치와 우울적 위치
부록, 리처드의 그림들
역자 후기
색인
■월프레드 비온, 홍준기 역, 『두 논문 : 좌표와 휴지기』, NUN(눈출판그룹), 2020, ISBN : 9791188466115
- 책소개
두 개의 논문 「좌표」와 「휴지기」로 구성되어 있다. 적은 분량이긴 하지만 매우 추상적으로 들리는 비온의 전체 저작 및 이론, 테크닉의 구체적 적용에 관심 있는 독자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다. 나아가 비온의 정신분석 테크닉을 통해서만 경험할 수 있는 자기 분석의 어떤 다른 측면을 사고할 수 있게 한다.
목차
좌표
휴지기
역자 후기
색인
■월프레드 비온, 홍준기 역, 『야생적 사고 길들이기』, NUN(눈출판그룹), 2020, ISBN : 9791188466122
책소개
「좌표」와 제목이 없는 하나의 논문(「무제」)이 수록되어 있다. 「좌표」는 『정신분석의 요소들』과 동일한 시기에 쓰여진 글이다. 이 번역서와 동시에 출간되는 『두 논문 : 좌표와 휴지기』에도 「좌표」라는 논문이 실려 있다. 후자는 1971년에 출간된 좌표에 관한 새로운 논문으로서, 자신이 만든 좌표에 대한 '사후적인 비판적 논평'을 포함한다.
목차
추천사 _ 파르테노페 비온 탈라모
좌표
서론 _ 프란체스카 비온
좌표, 1963년
무제
서론 _ 프란체스카 비온
1977년 5월 28일
1977년 5월 29일
참고문헌
역자 후기
색인
■멜라니 클라인, 존 스타이너 엮음, 홍준기 역, 『클라인의 정신분석 테크닉 강의』, NUN(눈출판그룹, 2019, ISBN : 9791188466108
책소개
정신분석 테크닉에 관한 클라인의 1936년 강의와 1958년 세미나의 완역본이다. 6개로 이루어진 원래 강의의 완전한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클라인학파의 지도적 분석가이자 저자로 저명한 존 스타이너가 비판적 논평을 덧붙였다. 또한 1958년 클라인이 영국정신분석학회의 젊은 분석가들과 함께한 세미나 및 주석을 포함한다. 이것 또한 최초 출간이다.
이 책에서 스타이너는 클라인의 테크닉이 지닌 특징이 무엇인지, 어떻게 변화했는지, 올바른 정신분석적 태도는 무엇인지, 그리고 클라인의 사망 후 정신분석 테크닉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탐구한다. 클라인 패러다임을 새롭게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는 이 책은 모든 정신분석가와 정신분석적 심리치료사의 필독서다.
목차
서문 -마이클 펠드먼
감사의 글
1부 서론, 개요, 그리고 클라인의 테크닉 강의와 세미나에 대한 비판적 논평
2부 테크닉에 관한 강의 - 1936년
서론
강의 1 : 지도 원리
강의 2 : 전이 상황의 여러 측면
강의 3 : 전이와 해석
강의 4 : 전이와 해석의 임상적 예증
강의 5 : 경험과 환상
강의 6 : 불평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