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석, 『프로이트, 꿈의 해석-마음을 이해하는 법』, 살림, 2019 ISBN : 9788952240828
- 책소개
살림지식총서 576권. 다양한 꿈 사례로 밝히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꿈의해석』을 쉽게 풀어서 이야기한 책이다. 프로이트가 말하는 꿈이란 무엇인가, 쉽게 풀어내는 정신분석 이론과 꿈의 본질, 의식-무의식 세계의 신비를 밝힌다.
- 목차
머리말 정신분석의 창시자 프로이트
제1장 꿈에 대하여
제2장 꿈의 기능
제3장 꿈이 만들어지는 과정
제4장 꿈의 두 가지 요소
제5장 꿈과 상징
제6장 꿈의 종류: 해결하지 못한 소원이 만드는 꿈
제7장 꿈의 종류: 망각한 과거 기억이 만드는 꿈
제8장 꿈의 종류: 현재 자극과 무의식이 만드는 꿈
제9장 꿈의 종류: 자기처벌 꿈과 불안 꿈
제10장 꿈의 메커니즘: 왜곡과 망각
제11장 꿈의 메커니즘: 꿈-사고를 묶는 압축
제12장 꿈의 메커니즘: 의식의 검열을 피하는 전치
제13장 꿈의 메커니즘: 반복
제14장 꿈의 메커니즘: ‘동일시’를 통한 소원 충족
제15장 꿈의 메커니즘: 환상·백일몽
제16장 정신구조 모델1: 구조와 작동 원리
제17장 정신구조 모델2: 각 조직의 기능
제18장 프로이트 사상: 유아성욕론
제19장 프로이트 사상: 히스테리·강박증·편집증
제20장 프로이트 사상: 후기 사상의 핵심
맺음말 무의식을 알아야 하는 이유
주
■ 김석, 「라캉 담론이론으로 읽는 1980, 1990년대 시대정신」, 『1990년대의 증상들』,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7, ISBN : 9788975857775
- 책소개
1990년대를 다시 읽는다는 것은 지금 한국사회가 처한 위기와 난경의 근원을 성찰하는 일과 다르지 않다. 1990년대는 이미 주어진 고정된 과거가 아니라 끊임없이 현재에 영향을 미치는 살아 있는 과거이며, 또 그런 이유에서 현재의 관점에서 새롭게 구성되어야 하는 어떤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1990년대에 접근해 1990년대에 대한 새로운 내러티브를 구축하는 것. 그럼으로써 현재의 삶에 보이지 않게 작용하는 1990년대의 증상들을 역사화하는 것이 이 책의 기획의도이다.
- 목차
머리말 02
‘90년대’는 없다 하나의 시론試論, ‘1990년대’를 읽는 코드|김영찬 07
라캉 담론이론으로 읽는 1980, 1990년대 시대정신|김 석 29
1990년대 청춘물 한국영화와 이행기적 욕망의 궤적|김소연 55
1990년대 전향 담론의 성격과 한계|김정한 77
‘1990년대’ 사라진 장소와 구로공단|김 원 105
장선우와 에로비디오 1990년대 한국의 전환기적 포르노 영화|이윤종 108
장정일 초기 소설의 문제성 -‘90년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한영인 223
1990년대 이후 한국영화에서 ‘코믹 모드’의 문제
로맨틱 코미디 장르의 이행기적 등장을 중심으로|김소연 253
참고문헌 283
■ 김석, 『자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