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캉과 문화(Lacan and Culture) | |
09:30-09:50 | 접수 |
09:50-10:00 | 회장 인사 김영민(동국대 영문과 교수) |
Session I: 라깡과 정신분석 이론 사회: 장시기(동국대) | |
10:00-10:30 | 발표: 박선영(충청대) / 토론: 백상빈(울산대)-0세~3세 사이의 심리발달의 변증법 : 불안, 거울단계, 부정성 |
10:30-11:00 | 발표: 이성민(난곡연구소) / 토론 고현범(고려대)- 주체와 진리의 자리 |
11:00-11:30 | 발표: 백상빈(울산대) / 토론 남인숙(서울대) - 가시성과 언표 : 정신분석에서의 이미지의 위치 |
11:30-12:00 | 발표: 구자광(고려대) / 토론 민승기(경희대) - 라깡의 오브제 a VS 데리다의 Khora |
12:00-13:20 | 점심식사 |
Session II: 라깡과 함께 영화 읽기 사회: 민승기(경희대) | |
13:30-14:00 | 발표: 정경훈(아주대) / 토론 김용수(한림대) -라깡/우리가 너무나 잘 알아 잘 모르는 것: <빈 집>, <비몽>을 통한 라깡의 (남성)성이론 |
14:00-14:30 | 발표: 김영민(동국대) / 이수연(한국여성정책연구원) - Visual Literacy and Transgression in Film |
14:30-15:00 | 발표: 이택광(경희대)/ 토론 김서영(광운대)-님은 어디에 있는가? : <님은 먼 곳에>와 여성적 주이상스의 위치 |
15:00-15:20 | 휴식 |
Session III: 라깡과 문화 현상 사회: 이유섭(명지전문대) | |
15:20-15:50 | 발표: 이만우(성공회대) / 토론 정경훈(아주대)-컴퓨터 게임과 사이버 주체들의 정신병리 : 폭력과 중독의 윤리에 대한 라깡 정신분석적 고찰 |
15:50-16:20 | 발표: 한형구(서울시립대) / 이택광(경희대) - 국민배우 최진실의 죽음 |
16:20-16:50 | 발표: 장시기(동국대) / 김석(건국대) - 라깡의 언어와 문화연구 |
16:50-17:20 | 발표: 권희영(한국학중앙연구원) / 문용식(총신대) -동아시아의 색정(色情)과 향락(享樂) |
17:20-17:40 | 휴식 |
17:40-18:30 | 종합토론 사회: 이병혁 교수 (본회 고문, 서울시립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