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깡과 철학 | |
09:00-09:20 | 접수 |
09:20-09:30 | 회장 인사 김병준(변호사, 법심리학회 고문) |
Session I: 라깡과 고대철학 사회 : 이유섭(명지전문대) | |
09:30-09:50 | 권택영(경희대): 엠페도클레스(b.c.490-430)의 리조마타와 라깡의 자연철학 |
09:50-10:10 | 정경훈(아주대): 자유의 미학, 칸트, 라깡, 장자(b.c.369-289) |
10:10-10:40 | 토론: 민승기(경희대) |
Session II: 라깡과 중세철학 사회 : 권희영(한국학중앙연구원) | |
10:40-11:00 | 강응섭(예일신대원): 아우구스티누스(354-430)와 라깡 |
11:00-11:20 | 이병혁(서울시립대): 원효(617-686)의 화쟁사상과 정신분석 |
11:20-11:50 | 토론: 권희영(한국학중앙연구원) |
11:50-13:00 | 점심식사 |
Session III: 라깡과 근대철학 사회: 김영민(동국대) | |
13:00-13:20 | 김상환(서울대): 데카르트(1596-1650)와 라깡 |
13:20-13:40 | 구자광(고려대): 칸트(1724-1804)와 라깡: 미학적 특징 |
13:40-14:00 | 이만우(성공회대): 라깡정신분석과 맑스주의(1818-1883) |
14:00-14:40 | 토론: 김석(건국대) |
14:40-14:50 | 휴식 |
Session Ⅳ: 라깡과 현대철학 사회: 박찬부(경북대) | |
14:50-15:10 | 김영민(동국대): 라깡과 하이데거(1889-1976) |
15:10-15:30 | 민승기(경희대): 라깡과 데리다(1930-2004) |
15:30-15:50 | 서용순(한국외국어대): 바디우(1937-현재)철학에서의 공백의 문제 |
15:50-16:10 | 김종갑(건국대): 지젝(1949-현재)의 실재계 행위개념 |
16:10-17:00 | 토론: 김상환(서울대), 홍준기(정신분석연구소) |
17:00-17:10 | 휴식 |
Session Ⅴ: 라깡-현대프랑스철학-철학 사회: 홍선미(전북대) | |
17:10-17:30 | 홍준기(정신분석연구소): 라깡과 현대프랑스철학 |
17:30-17:50 | 김 석(건국대): 라깡과 철학 |
17:50-18:20 | 토론: 신인섭(강남대) |
18:20-19:00 | 종합토론 사회: 이수연(한국여성개발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