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논문투고규정

『현대정신분석』 논문 투고 규정

【학회지 발간】

매년 2월 28일과 8월 31일 연 2회 발행하며 한글(국문) 논문과 외국어(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논문을 함께 게재한다. 국제학술대회 논문집을 발행할 경우는 외국어 논문을 원칙으로 한다.

【논문의 내용 및 요건】

현대정신분석 이론가들에 관한 독창적인 논지를 개진하거나 이들의 이론을 철학, 문학, 종교, 심리학, 영화, 정치, 정신의학, 사회, 사회복지, 문화, 예술 등 학술 분야나 임상, 실생활에서 응용한 내용을 다룬 논문을 게재한다.

【논문의 투고 및 게재 제한】

본 학회지는 다음과 같이 이중투고 및 투고 편수를 제안한다.

가. 이중투고 및 이중게재 금지: 투고논문은 다른 학술지나 출판물에 게재되지 않았거나 해당 호의 투고 기간에 다른 학회지에 투고 신청되지 않은 연구물이어야 한다.

나. 연속 투고 제한
동일저자의 연속 2회 투고를 제한한다. (단 단독저자 + 교신저자의 자격으로 연속 2회 투고의 경우, 교신저자 + 교신저자의 자격으로 연속 2회 투고의 경우는 투고 가능)

다. 심사에서 2회 이상 탈락한 해당 논문의 경우 재투고를 제한한다.

【기고 자격】

기고자의 자격은 원칙적으로 회비 미납이 없는 본 학회 회원으로 제한하되, 외국인이나 특별기고 같은 경우 편집위원회 결의를 거쳐 자격을 인정한다. 특집이 있는 경우에는 기고자의 자격을 편집위원회의 추천을 받은 사람으로 한정할 수 있다.

【기고 방법】

원고는 한글이나 워드 프로세서로 작성하여 필자가 책임 교정한 뒤, 전자우편으로 송부한다. 심사의 공정성을 위해 본문의 어떤 부분에서도 필자의 신원을 확인하거나 암시하는 부분이 없도록 한다. 투고자는 학회 서식인 ‘투고자 인적사항’을 작성해 심사논문과 함께 보내야 한다. 원고는 발행일 기준 50(45)일 이전에 제출 한다.

접수처 : 현대정신분석학회 잼스투고시스템 korcp.jams.or.kr

【원고 분량】

원고 매수는 각주와 참고문헌을 포함하여 150매(약 A4, 16매) 이내로 하며 180매(약 A4, 20매)를 넘지 않도록 한다. 외국어 논문은 6,000-8,000 단어 정도의 분량으로 한다. 투고 논문의 분량이 150매(인쇄본 34매)를 넘을 때는 초과된 인쇄본 1매당 10,000원의 인쇄비를 부담해야 하며 180매(인쇄본 39매)가 넘는 경우는 원칙상 싣지 않는다.

【제1저자 및 교신저자 구분】

논문이 2인 이상에 의해 집필된 경우, 각 저자들의 역할 구분과 그 기술방법은 아래의 기준을 따른다.

  1. 1. 제1저자(First Author)는 논문 작성 시 원고의 기획, 조사, 분석, 문서작업 등에 가장 많이 기여한 연구자로서 주저자가 단독일 경우 한 사람의 이름만 표기하고, 여럿 일 경우 기여도에 따라 순서대로 표기한다.
  2. 2.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가 있는 경우에는 마지막에 명기된 이름이 교신저자에 해당하며, 논문 첫 장에 *표 각주로 제1저자, 교신저자를 각각 명시한다.


【원고 심사 및 게재 판정】

학회에서 정한 <심사 및 게재 절차에 관한 세칙> 에 의거 심사 후 게재를 판정한다. 게재 가능 판정을 받은 논문도 내용의 수정이나 보완, 분량의 조정 등을 요구할 수 있다.

【논문 게재료】

논문 게재가 결정된 경우에 한하여 기고자는 편집 위원회에서 결정한 일 정액의 발간 비용(전임 20만원, 준 · 비전임 10만원)을 납부하여야 한다. 연구비 지원을 받아 각주에 연구비 지원 사실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편당 30만원 이상의 게재료를 내야 한다. 투고 논문의 분량이 150매(인쇄본 34 매)를 넘을 때는 초과된 인쇄본 1매당 10,000원의 인쇄비를 부담한다.

【논문의 저작권】

본 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의 저작권은 학회가 소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학회의 출판사업과 관련하여 논문을 재인쇄할 경우 필자의 동의 없이 출판하고 사후 필자에게 통보한다. 학교 교육용 자료나 개인 연구를 제외하고 본 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무단 복제할 수 없다.

【편집세부규정】

다음과 같이 편집세부 규정을 제시한다. 아래에 제시된 논문 작성 규정을 따르지 않은 논문은 심사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1. 논문 작성
  • 1) 한글프로그램이나 MS 워드로 작성하고 글자는 바탕체를 기본으로 한다.
  • 2) 논문 편집은 다음 기준을 따른다.
    - 본문: 왼쪽 여백 0.0 오른쪽 여백 0.0, 들여쓰기 10.0, 줄간격 160%, 글자크기 10
    - 인용문: 왼쪽 여백 30, 오른쪽 여백 30, 들여쓰기 0.0, 줄간격 160%, 글자크기 9
    - 각주: 왼쪽 여백 0.0, 오른쪽 여백 0.0, 내어쓰기 15.0, 줄간격 130%, 글자크기 9
    - 참고문헌: 글자크기 10, 왼쪽 여백 0.0, 오른쪽 여백 0.0, 내어쓰기 31.5, 줄간격 160%
    - 초록(Abstract): 작성 형식은 본문에 준한다.
  • 3) 본문 내용구분은 Ⅰ, Ⅱ → 1, 2 → 1), 2) → (1), (2) → a), b) → (a), (b)의 순으로 한다.
  • 4) 예술작품과 영화명은 < >로 표기하고, 필자가 인용하는 도판은 (그림 1), (그림 2)로 표기한다. 문학작품의 경우 장편은 『 』, 단편 소설과 시 등은 「 」로 표기한다.
    예) <모나리자>, <시민 케인>, (그림 1), (그림 2), 『죄와 벌』, 「소나기」
  • 5) 앞에서 인용한 책을 다시 인용할 때는 (앞의 책, 쪽수)로 표기하며 동일한 저자의 다른 책을 인용할 때는 최초 인용처럼 (저자명 출판연도: 쪽수)의 방식으로 표기한다.

2. 서지사항
  • 1) 논문 제목, 필자 이름 순으로 중앙정렬 방식으로 배치한다. 부제를 달 경우, 본제목과 부제목 사이에 콜론(:)을 넣는다.
  • 2) 특정기관의 논문지원이 있을 경우, 논문지원에 대한 언급은 논문제목 옆에 *(위첨자 형태)로 표기한 후 번호 없는 각주로 기재한다. 그리고 소속은 **(위첨자 형태)로 표기한 후 번호 없는 각주로 기재한다. 특정기관의 논문지원이 없을 경우, 소속을 *(위첨자 형태)로 각주로 기재한다.


    예)

    정신분석 주체개념의 현시적 유용성: 이론을 중심으로*

    홍 길 동**







    *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 하에 ....
    ** 한국대학교. 철학과


3. 초록과 주제어(키워드)
  • 1) 800자 내외의 한글 초록을 필자의 이름 밑 박스 안에 제시한다. 그리고 논문 말미에 100-350단어 정도의 외국어 초록(요약문)을 첨부한다. 한글 초록은 800자 내외(대략 1행 32자로 감안하여 25행 미만), 외국어 초록은 100-350단어(대략 1행 15단어로 감안하여 6행 이상 23행 미만)의 초록 분량을 엄수한다.
  • 2) 외국어 논문은 논문 서두에 100-350단어 정도의 외국어(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초록을 제시하고 논문 말미에 원고지 800자 내외의 한글 요약문을 첨부한다.
  • 3) 필자의 영문 성명은 성, 이름 순으로 표기한다.
    예) Hong, Gil-Dong
  • 4) 초록 밑에 각각 한글 주제어와 외국어 키워드를 5~8개 제시한다. 키워드는 고유명사를 제외하고 모두 소문자로 표기한다. 단어와 단어 사이에는 쉼표를 사용하되 맨 마지막에 마침표를 찍지 않는다.

4. 외국어 표기
  • 1) 영문 저자명의 경우 성을 먼저 쓰고 이름은 약자로 처리한다.
    예) Lacan, J.
  • 2) 한자나 외국어(용어, 고유명사, 작품명)를 쓸 경우, 먼저 한글로 적고 괄호 안에 한자나 외국어를 병기한다. 본문에 한 번 사용한 외국어를 다시 쓸 때에는 한글로만 표기한다. 외국어 용어는 언어를 불문하고 신조어, 원저자의 강조 등의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이탤릭 표기하지 않는다. 작품명, 도서명 등의 외국어 원어도 이탤릭 표기하지 않는다.
    예) 주이상스(jouissance), 라랑그(Lalangue)
  • 3) 두 개의 외국어를 나열할 때에는 쉼표로 병기한다.
    예) ‘물(das Ding, the Thing)'

5. 인용
  • 1) 각주는 가급적 달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본문의 논의 전개에 꼭 필요한 정보나 혹은 재인용의 경우 원래의 저술을 밝힐 필요가 있을 때에는 각주로 처리한다.
  • 2) 인용이나 참고한 문헌의 출처는 본문의 괄호 속에 저자의 이름과 출판 연도, 쪽 번호만 밝힌다. 인용 또는 참고한 문헌이 되풀이될 때에도 같은 방식으로 한다.
    예) 윌리엄스는 “문화는 정치적 지형을 변형시킨다”(Williams 1990: 7)라고 말했다. “문화는 인간 주체의 욕망에 따라 정치적 지향을 바꾼다”(Williams 1990: 7-8).
  • 3) 번역서를 인용할 때에는 원전이 발간된 연도와 번역판 연도를 같이 표기한다. 인용 쪽수는 원본을 기준으로 한다.
    예) 윌리엄스는 “문화는 정치적 지형을 변형시킨다”(Williams 1990/ 1996: 25)고 주장했다.
  • 4) 두 명 이상의 저자를 인용할 경우, 가나다 순 또는 알파벳 순으로 제시한다. 저자가 같고 연도가 다른 문헌을 함께 언급할 때에는 연도만 나열한다.
    예) (서용순 2004; 홍준기 2008), (James 1996a/1996b)
  • 5) 저자나 역자가 2명인 글은 (홍길동 & 홍길순)으로 표기하고 3명 이상인 글은 (홍길동 외), (Keller, H., et al. 2008: 10)로 표기한다.
  • 6) 필자가 본인의 저술을 인용할 때에는 ‘졸고’라고 하지 않고 이름을 밝힌다.
  • 7) 세 문장 이하를 인용할 경우, 인용 시작과 끝에 한글자판 상에 표기되는 큰따옴표(“”)로 본문 속에 처리한다(영문자판 상에 표기되는 인용부호(" ")가 아님에 유의할 것). 필자의 의도에 따른 강조는 ‘’부호나 굵은 글씨로 처리한다.
  • 8) 네 문장 이상을 인용할 경우, 별도의 인용부호 없이 본문과 한 칸 여백을 설정해서 독립적으로 처리한다.
  • 9) 인용할 때 필자가 생략하는 부분은 [...] 부호로 표시하고 (출판편집 작업 시 […]로 바뀜), 필자가 추가하는 부분은 [ ] 부호로 표시하고 이를 각주에 밝힌다.
  • 10) (괄호) 안의 괄호는 아래와 같이 [ ]로 표기한다.
    예) ([의 사상]과의) 관계는

6. 참고문헌

  • 1) 논문의 말미에 참고 문헌의 서지 정보(저자명, 도서명, 논문명, 학술지명, 학술지의 해당 권호, 발표 연도, 해당 쪽수 등)를 정확히 작성하여 첨부해야 한다.
  • 2) 한글책의 저자 역할은 지음, 엮음, 옮김으로 표기한다.
  • 3) 참고문헌에는 본문에서 인용하였거나 참조한 문헌만을 수록한다.
  • 4) 참고문헌의 수록 순서는 국한문 문헌 다음에 외국 문헌을 싣되, 각각 저자 이름의 가나다 순과 알파벳 순서로 기재한다. 항목별 수록 순서는 논문, 저서, 신문·잡지, 인터뷰, 인터넷 자료 식으로 한다.
  • 5) 같은 저자의 문헌은 출판연도가 오래된 순서대로 배열하되, 같은 연도의 것이 두 편 이상일 때에는 연도 다음에 a, b, c, ... 등을 넣어 구별한다. 예) (1999a/1999b)
  • 6) 동양어권 논문은 「 , 저서는 『 』, 서양어권 논문은 “ ”, 저서는 이탤릭으로 표기한다.
  • 7) 각주에서 같은 저자의 여러 저서나 논문을 병기할 때는 단락을 나누지않고 이어서 쓴다. 모든 항목은 마침표로 끝낸다.
  • 8) 특히 단행본의 연도는 문헌이 인쇄된 연도가 아니라 저작권 표시 (ⓒ) 된 연도를 쓴다.
  • 9) 발간 연도가 불분명한 문헌은 (n.d.)라고 쓴다.
  • 10) 참고논문은 권수와 호수, 쪽수를 아래와 같이 명기한다. 권호 구분이 없을 때에는 괄호 없이 표기한다.
    예) 하상복 (2010). 「비판적 다문화주의를 통한 다인종 문학의 검토와 마마데이의 『새벽으로 지은 집』 다시 읽기」. 『새한영어영문학』. 52(2). 169-191.
  • 11) 신문이나 잡지 기사는 아래와 같이 명기한다.
    예) “기사 제목”. <동아일보>. 1961년 10월 7일.
  • 12) 전집류 제목은 아래와 같이 책 제목 뒤에 배치한다.
    예) Sartre, J.-P. (1943). L’?tre et le n?nt. Coll. Tel. Paris: Gallimard.


한글(우리말) 논문의 예 외국어(영어) 논문의 예